UNDERCOVER "FALLEN MAN"
2020년 8월 7일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의 본질을 사람들에게 소개한다는 사명에 충실하기 때문에, Undercover 는 FRAME 의 다양한 브랜드 중에서 빛을 발하는 보석입니다.
브랜드 창립자인 다카하시 준이 도쿄의 문화 패션 전문학교(야마모토 요지, 와타나베 준야 등 전설적인 디자이너를 배출한 학교)에서 공부하던 90년대 초에 시작되었습니다. 그와 그의 친구인 니고와 후지와라 히로시는 하라주쿠에 작은 매장을 열고 미국에서 엄선한 빈티지 의류와 Undercover 의 초기 작품을 판매했습니다. NOWHERE는 도쿄의 창작자와 신진 디자이너를 위한 문화 허브이자 '우라하라'라는 문화 현상과 운동의 성전이 되었습니다.
'우라하라'는 몇 문장으로 완벽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자기 표현과 영감을 갈망하던 도쿄의 창의적인 젊은이들이 서로 창작을 독려했던 일본 패션 역사의 한 순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그 운동의 빛은 매우 밝고 결실을 맺어 DIY 자기 표현의 수단을 패션과 예술의 영역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우라하라'는 스트리트웨어, 콜라보레이션, 샘플링 등 오늘날 패션, 음악, 예술 업계에 존재하는 용어 common 의 존재에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시기에 설립된 브랜드인 Neighborhood, BAPE, WTAPS, 마스터마인드 재팬, 화이트 마운티니어링은 현재 패션 업계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수백만 달러 규모의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시 젊은 준은 '섹스 피스톨스'라는 지역 밴드의 리드 싱어였습니다. 그는 80년대 영국 펑크 신에서 깊은 영감을 받았고 비비안 웨스트우드와 말콤 맥라렌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크리에이티브 여정 초기부터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이러한 대담함이 작품 연구와 개발에 반영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태도 덕분에 그는 영감의 표면을 덮고 '극도로 깊이' 들어가 '진정한' 아름다움을 작품에 담아내는 자연스러운 힘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2002년, Undercover 03년 봄/여름 "SCAB" 컬렉션으로 파리에서 글로벌 데뷔를 했습니다. 아방가르드의 여왕 가와쿠보 레이의 도움으로 이 쇼는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전 세계 관객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전 세계 패션계의 눈에는 신비롭고 알려지지 않은 이 브랜드는 데뷔 직후 꼭 알아야 할 브랜드로 탈바꿈했습니다. 디테일부터 직접적인 상징성까지, 이 컬렉션은 거터 펑크 음악과 그 하위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무정부 상태를 통한 평화와 단결이라는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개념적으로는 반항아를 대의를 가진 반항아로 변모시키려는 시도였습니다.
준 타카하시의 세심한 디자인, 강력한 스토리텔링, 뛰어난 실행력은 모두 Undercover의 작품에 영감을 주고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 브랜드의 컬트적인 추종자들의 마음을 진정으로 사로잡는 한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바로 이중성을 기념하고 현실의 뒤틀림을 인간 본성의 common 측면으로 받아들이는 형태로 표현되는 난해한 펑크 에너지로, Undercover 의류를 웨어러블한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진정한 정신적 요소입니다.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그래픽 작업과 기타 디자인 요소를 표현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Undercover의 20 가을/겨울 컬렉션은 쿠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57년판 맥베스 영화인 ' 왕좌의 피'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서양에서 영감을 받은 common 의 표현에도 불구하고 Undercover이 일본 국내 미학을 참조한 첫 번째 컬렉션이었습니다. 지난 1월 파리에서 선보인 '타락한 인간'은 <피의 왕좌>를 안무가 주도의 이론적 행위의 형태로 재해석한 컬렉션이었습니다. 이 컬렉션의 주요 일본적 요소는 레이어드 실루엣과 오버사이즈 피팅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주인공 와시즈 타케토키(미후네 토시로 분)가 거미줄 성의 부족을 상징하는 화살에 의해 벽에 고정되는 장면이었습니다.
다카하시 준이 20 가을/겨울 컬렉션의 테마로 ' 피의 왕좌 '를 선택한 주된 이유가 동료를 배신하여 권력을 추구하다가 결국 악행으로 파멸의 운명에 직면하는 한 남자의 시각적 시를 그리기 위해서였다고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이 이야기는 불교의 법 사상의 틀에서 삶의 순환에 대한 연관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Undercover의 질서-무질서 모토와 결국 하나의 목적지로 이어지는 이중성의 여정과 상징적으로 공명합니다.